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7

37. 세력의 매집 흔적을 포착하는 법 – 주가는 우연히 움직이지 않는다1. 세력? 그게 진짜 있긴 해요?있습니다.하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력”은어떤 검은 양복을 입은 음모 집단이 아닙니다.✔ 연기금✔ 기관✔ 외국계 자금✔ 사모펀드✔ 또는 개별 수십억 단위 자금 운용자이런 자금들이 “일정 구간에서 천천히 모으는 행위”→ 그게 바로 매집입니다.2. 세력 매집이 중요한 이유세력은 개인보다 정보와 자금력이 우위보통 상승을 준비하는 1~3개월 전부터 매집 시작매집 흔적을 파악하면 상승 초기 진입 가능👉 단기 시세보다 중요한 건,“누가 조용히 사고 있는가?”3. 세력 매집의 흔적 5가지① 일정 가격대에서 ‘계속 거래되는’ 구간주가가 박스권에서 1~2달째 움직임 없음하지만 거래량은 유지됨→ 누군가 사고 있고, 누군가는 팔아주고 있음📌 이걸 “눌.. 2025. 7. 11.
36. 주봉과 월봉 차트 보는 법 – 단타 말고, 흐름을 읽는 힘을 기르자1. 왜 주봉, 월봉을 봐야 할까?초보자일수록 분봉이나 일봉만 보면서“왜 이렇게 출렁거리지?”, “지금 사도 될까?” 하고 혼란에 빠집니다.하지만 주봉/월봉은이런 작은 출렁임이 아닌 ‘큰 흐름’을 읽는 데 최적화된 도구입니다.👉 하루 이틀의 흔들림에 휘둘리지 않고,👉 ‘지금이 추세의 초입인지, 끝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2. 주봉이란?1개의 봉이 1주간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월~금)시가, 종가, 고가, 저가가 모두 반영된 한 주의 요약단기~중기 투자자에게 유용매수 타이밍 조절 + 추세 반전 포착 가능🟦 활용 예시:주가가 장기간 눌린 후 주봉 양봉 + 거래량 증가 → 상승 추세 시작 가능성이동평균선 돌파(5주선, 20주선) → 추세 전환의 신호3. 월봉이란?1개.. 2025. 7. 9.
35. 수익률이 안 나오는 이유 – 고수익이 안 되는 초보자들의 7가지 착각과 개선 전략1. 왜 나는 항상 3~5% 먹고 나오는데 수익률은 제자리일까?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이런 고민을 합니다.손해는 많이 안 보는데 이상하게 수익이 안 쌓인다매번 조금씩 먹고 나왔는데 연말에 보면 결국 -2%단타만 하는데 계좌는 늘 제자리…이유는 단순합니다.한 번 크게 손실 보고, 수익은 쪼개먹고 있기 때문입니다.2. 초보자의 낮은 수익률, 7가지 대표 원인❶ 수익은 짧게, 손실은 길게3% 수익 → 익절-10% 손실 → 버텨보기→ 수익은 작고, 손실은 오래 간다❷ 단기 차익만 노리는 습관매일 매매하는 습관 → 누적 수수료 증가시세는 잡기 어려운데 기계적으로 진입→ 피로도 ↑, 실수 확률 ↑❸ 명확한 매수/매도 기준 없이 “느낌으로”“오늘 뭔가 오를 것 같.. 2025. 7. 6.
34. 손절의 기술 – 손해 보더라도 꼭 팔아야 할 때는 있다1. “손절은 나약한 사람이 하는 거 아니에요?”아닙니다. 손절은 ‘살아남기 위한 기술’입니다.많은 초보자들이 이렇게 생각하죠.“버티면 언젠간 올라오겠지”“팔면 진짜 손실 확정이잖아…”“지금 손절하면 너무 억울해요…”그 마음 이해합니다.하지만, 손실을 확정하지 않으면 계좌가 망가집니다.손절은 패배가 아니라 전략입니다.제때 자르는 것이 진짜 고수입니다.2. 손절이 중요한 이유✅ 1) 계좌 전체의 회복력을 지키기 위해-30% 손실 → 수익률로 +43%를 벌어야 본전-50% 손실 → 무려 +100% 수익이 필요→ 한 번 잘못 물리면 회복이 ‘불가능’해집니다✅ 2) 기회비용이 사라지기 때문물린 종목에 자금이 묶이면좋은 종목이 와도 매수 못 하는 상황 발생→ 손절은 기회 .. 2025. 7. 5.
33. 공포장에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 하락장에서 매수 타이밍을 잡는 전략1. 모두가 파는 그 순간, 나는 사도 될까?시장이 한없이 빠지는 날.모든 종목이 파랗게 물들고, 뉴스는 “서킷브레이커 발동”을 외치고,주변 사람들은 “이번엔 진짜 망한 거야”라고 말합니다.그때 당신은 두 가지 선택 앞에 놓입니다.1. 나도 팔고 도망친다2. 공포 속에서 매수한다이 두 선택 중 어떤 게 맞을까요?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매수하려면 ‘전략’이 있어야 합니다.2. 하락장 매수의 오해부터 바로잡자공포장은 저가 매수 기회다 → 절반만 맞는 말입니다.하락 초입이라면 바닥이 아닐 수 있고,기업의 가치가 훼손됐을 수도 있습니다.무조건 버티면 오른다 → 아닙니다.**‘버틸 수 있는 종목’과 ‘그래선 안 되는 종목’**은 구분해야 합니다.기관이 산다니까 나도 사야지 .. 2025. 6. 26.
32. 보유 종목이 급락했을 때의 대처법 – 멘붕 방지 3단계 체크리스트와 실전 대응 시나리오1. 갑작스러운 급락, 당신만 당한 게 아닙니다“왜 갑자기 -18%죠…?”“이 종목 아무 일 없었는데 왜 이래요?”“어제 산 건데 하루 만에 반토막 날 줄이야…”누구나 한 번쯤 겪는 급락 공포.갑자기 파랗게 물든 내 계좌,혼자만 소외된 것 같은 기분,그리고 ‘지금 팔면 진짜 바보일까?’란 자책감까지…하지만,급락은 끝이 아니라 ‘분석의 시작’입니다.당황하지 않고 아래의 3단계로 구조화해서 판단하면멘탈은 지키고, 손실은 줄이며, 기회는 살릴 수 있습니다.2. STEP 1: 급락의 이유를 먼저 찾아라먼저 손가락이 아닌 뉴스와 공시를 먼저 열어보세요.📌 확인해야 할 대표적 급락 사유악재 공시: 관리종목 지정, 횡령/배임, CB 전환, 실적 쇼크시장 이슈: 코.. 2025.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