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주가는 우연히 움직이지 않는다
1. 세력? 그게 진짜 있긴 해요?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력”은
어떤 검은 양복을 입은 음모 집단이 아닙니다.
✔ 연기금
✔ 기관
✔ 외국계 자금
✔ 사모펀드
✔ 또는 개별 수십억 단위 자금 운용자
이런 자금들이 “일정 구간에서 천천히 모으는 행위”
→ 그게 바로 매집입니다.
2. 세력 매집이 중요한 이유
- 세력은 개인보다 정보와 자금력이 우위
- 보통 상승을 준비하는 1~3개월 전부터 매집 시작
- 매집 흔적을 파악하면 상승 초기 진입 가능
👉 단기 시세보다 중요한 건,
“누가 조용히 사고 있는가?”
3. 세력 매집의 흔적 5가지
① 일정 가격대에서 ‘계속 거래되는’ 구간
- 주가가 박스권에서 1~2달째 움직임 없음
- 하지만 거래량은 유지됨
→ 누군가 사고 있고, 누군가는 팔아주고 있음
📌 이걸 “눌림목 매집” 혹은 “바닥다지기”라고 부름
② 거래량 터지지 않고 ‘서서히 증가’
- 갑자기 터지는 폭발적 거래량이 아니라
- ‘평균 거래량이 조금씩 늘어남’
→ 급등 전 준비 가능성 높음
③ 상한가 없이 일정 간격의 상승
- 단기간에 급등 없이
- 3%, 2%, -1%, 4% 이런 흐름 반복
→ 고요하지만 상승세 유도
👉 상한가 없이 우아하게 움직이는 종목 = 세력 스타일
④ 하락 시 ‘매수 잔량’이 급증
- 장 초반 시세가 빠져도
- 호가창 하단에 매수 대기 물량이 빼곡
→ 하방 지지 의도 = 털지 않고 지키려는 흔적
⑤ 뉴스나 이슈 없음에도 조용히 상승
- 실적 발표 전인데 주가만 슬금슬금
- 아무런 호재도 없는데 3일 연속 강세
→ 세력 정보 우위 매수 가능성
4. 초보자를 위한 실전 적용법
✅ 1) 일봉으로는 안 보입니다.
→ 반드시 주봉/월봉 확인하세요.
→ 매집 흔적은 일봉의 ‘노이즈’를 넘어선 흐름
✅ 2) 특정 박스권에 거래량 증가가 포착되면 관심 종목 등록
→ 예: 8,500 ~ 9,000원 구간에서 거래량↑ + 시세 변화 없음
→ 이게 진짜 매집일 수 있음
✅ 3) 차트에서 “계단식 상승 + 저점 고정”이 보이면 의심
→ 예:
- 전저점: 8,100 → 8,400 → 8,800
- 종가: 8,800 → 9,100 → 9,300
→ 세력이 천천히 물량 올리며 이탈자 방지 중
5. 세력 매집 뒤에 나오는 흐름은?
- 1단계: 조용한 매집 구간 (거래량 적정, 횡보)
- 2단계: 시세 분출 전 리허설 (살짝 올리고 눌림)
- 3단계: 돌파봉 + 거래량 동반 급등 (진짜 시작)
📌 이 흐름을 익히면
👉 “2단계~3단계 초입에서 진입”이 가능합니다.
6. 주의: 매집처럼 보여도 ‘속임수’일 수 있다
❌ 거래량만 많고 시세는 아래로 → 물량 던지는 중
❌ 뉴스 뒤 급등 + 상한가 → 단타 유입 후 매도 타이밍
❌ 이전 급등주의 매집 구간 복귀 → 이건 고점 물량 소화지 매집 아님
👉 매집은 ‘시간과 반복’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7. 마무리 – 세력의 흔적은 ‘흔적처럼만’ 남는다
세력은 절대 자취를 명확히 남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사고’, ‘지키고’, ‘누르고’, ‘끌어올리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우리가 할 일은 그 흔적을 인내심 있게 관찰하고,
움직임이 시작될 때 동승하는 것.
초보자일수록 급등보단 매집구간 분석 훈련이 먼저입니다.
진짜 상승은, 조용히 시작되니까요.
반응형
'초보자를 위한 주식강의 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주봉과 월봉 차트 보는 법 (1) | 2025.07.09 |
---|---|
35. 수익률이 안 나오는 이유 (0) | 2025.07.06 |
34. 손절의 기술 (0) | 2025.07.05 |
33. 공포장에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0) | 2025.06.26 |
32. 보유 종목이 급락했을 때의 대처법 (3)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