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하락장에서 매수 타이밍을 잡는 전략
1. 모두가 파는 그 순간, 나는 사도 될까?
시장이 한없이 빠지는 날.
모든 종목이 파랗게 물들고, 뉴스는 “서킷브레이커 발동”을 외치고,
주변 사람들은 “이번엔 진짜 망한 거야”라고 말합니다.
그때 당신은 두 가지 선택 앞에 놓입니다.
1. 나도 팔고 도망친다
2. 공포 속에서 매수한다
이 두 선택 중 어떤 게 맞을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하지만 매수하려면 ‘전략’이 있어야 합니다.
2. 하락장 매수의 오해부터 바로잡자
- 공포장은 저가 매수 기회다 → 절반만 맞는 말입니다.
하락 초입이라면 바닥이 아닐 수 있고,
기업의 가치가 훼손됐을 수도 있습니다. - 무조건 버티면 오른다 → 아닙니다.
**‘버틸 수 있는 종목’과 ‘그래선 안 되는 종목’**은 구분해야 합니다. - 기관이 산다니까 나도 사야지 → 따라 샀다간 더 빠집니다.
외국인과 기관은 평균 단가와 전략이 다릅니다.
따라서 중요한 건
무턱대고 사는 게 아니라, ‘매수 기준’을 만드는 것입니다.
3. 공포장에서 매수해도 되는 종목의 조건
✅ 1) 실적이 이미 검증된 기업
- 분기 실적이 꾸준히 성장
- 이익률 유지, 부채비율 안정
✅ 2) 하락 이유가 시장 이슈일 뿐, 기업엔 영향 없음
- 금리, 환율 등 외부 변수에 따른 일시적 하락
- 업황은 괜찮고, 수요도 유지 중
✅ 3) 차트상 장기 박스권 하단에 근접
- 이전에도 반등이 자주 나온 지지 구간
- 거래량 급감 후 가격 횡보 구간
✅ 4) 기관/외국인 동시 매수 전환
- 단순히 ‘산다’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매집하는 흐름
4. 하락장에서 매수하는 3가지 전략
① 분할매수 전략
- 예산 100만 원이면 25만 원씩 4회 분할
- 떨어질수록 더 싼 가격에 매수
- 단, 회사 가치가 확실할 때만!
② 지지선 매매 전략
- 주봉/월봉 기준으로 과거 반등 구간에서 진입
- ‘기술적 반등’ 기대하고 단기 매매 가능
③ 장 마감 직전 매수
- 오전보단 오후가 더 냉정함
- 종가 근처에서 매수하면 리스크 조절 가능
- 종가 베팅은 다음날 갭상승 가능성도 노림
반응형
5. 실전 팁 – 이런 종목은 피하자
❌ 단기 급등 후 하락하는 테마주
→ 세력 이탈 시 회복 불가
❌ 악재성 공시 후 반등 없는 종목
→ 시장이 외면하는 주식
❌ 주가 흐름이 박스권 없이 추세적 하락
→ 기술적 반등 가능성 낮음
❌ 기업 자체가 턴어라운드 근거 없음
→ 장기 투자 가치 없음
6. 마무리 – 공포장에서 사는 법은 ‘용기’가 아니라 ‘기준’이다
하락장에서 성공하는 사람은,
용기만으로 매수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매수 전에 이미
- “이 종목은 어떤 이유로 사는지”
- “어디까지 떨어지면 어떻게 대응할지”
- “얼마만큼 살 건지”를 정해둔 사람들입니다.
공포를 이기는 방법은 차가운 기준입니다.
계획된 매수만이 기회가 됩니다.
반응형
'초보자를 위한 주식강의 ST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수익률이 안 나오는 이유 (0) | 2025.07.06 |
---|---|
34. 손절의 기술 (0) | 2025.07.05 |
32. 보유 종목이 급락했을 때의 대처법 (3) | 2025.06.24 |
31. 시장이 빠질 땐 어떻게 대응하나요? – 하락장 대처 전략 (0) | 2025.06.22 |
30편. 초보자 포트폴리오 설계법 – 종목 수, 비중, 기준을 잡는 법 (1) | 2025.06.20 |